728x90
반응형

 

 

전반적인 내용으로 보았을때, 단순 웃고 넘길 에피소드가 아닌 한 시대 여러 삶속 그 자체였음.

 

 

후자의 경우 뿌린대로 거두게 됨.

 

 

※ (비록 월세가 저렴한 곳으로 이전하여 온라인으로 넘어간 용팔이들도 다수 존재하지만 예전처럼 가격 후려치기나 협박등 이런 수법들은 더 이상 먹혀들어가지가 않음.)

 

 

※ 기자들 팩트체크안하는건 여전

 

 

 

※ 투 플라톤 어택 : 아케이드 & PS1 으로 발매된 캡콤 격투게임 사립 저스티스 학원의 필살 기술이며 2인이서 한명의 기를 쏙 빼놀정도로 두들겨 팬다.

 

 

 

※ 폭리를 넘어 사기수준.

728x90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스카이러너

,
728x90
반응형

 

 

여분의 메모리카드가 생겨 이번에는 FMCB 부트 메모리를 하나 더 똑같게 만들어 두기로 해봅니다. (제목 그대로)

 

 

 

 

 

ulaunch.elf 를 실행.

 

 

 

 

 

USB에 저장된 FMCB INSTALLER 를 실행한 다음 Format MC 로 메모리 카드를 깨끗하게 해준후 "첫 번째 메뉴의 install" 을 선택해 줍니다. 그러면 3가지의 메뉴가 뜨는데 제일 아래의 Cross-region 을 선택하여 설치.

 

 

※ 메인화면 두번째 multi-install 옵션으로 부트메모리를 설치해서는 아니되는데 그 이유는 제작자들도 실패를 인정한 메뉴였으므로 작업을 진행해보면 메모리카드가 먹통이 되는 문제가 있습니다. (단순 인식이 안되는 것이 아닌 화면 부팅자체가 안되어버림.)

 

 

 

 

 

셋업화면

 

 

 

 

 

단순 메모리 카드끼리 파일 복붙만으로 작동하지 않는 이유는 이것 때문이며, FMCB가 설치되는 과정중 사용된 메모리카드내 고유 할당된 ID와 사진속 지역폴더로 암호화 되기 때문. 그렇기에 기존 사용중인 FMCB 셋팅 및 여러 파일들까지 복사하려면 괄호안 파일들만 남겨두고 복붙하면 정상적으로 작동합니다.

 

 

※ 기존 가지고 있던 FreeMcBoot 버전과 새로이 인스톨하여 설치하는 파일의 버전은 일치하여야 합니다.

728x90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스카이러너

,
728x90
반응형

 

 

SCPH-10000

 

 

(플스 1 시리즈들이 끝물 때인 2000년 상반기 무렵, 본격적으로 인터넷이 각 가정에 보급됨과 동시 PC가 불티나게 팔리던 그때에도 보따리상 물량부족으로 인해 용던에서 100만 원까지 올려 부를 정도였으니 나름 상징적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모델로 볼 수도 있음.)

 

 

 

※ 이후 180만원까지 오른적이 있었다는 후문이 존재하나 필자가 직접 들었던 가격대 기준으로 작성해 본다.

 

 

 

 

 

비닐포장의 경우 완전 미사용품은 아니기에 첫 구매했을때와 같지는 않음. 그러나 사용횟수는 손에 꼽을 정도라 상태가 매우 좋지 않은 DVD 영화를 끊김없이 재생할 수준으로 픽업상태는 최상.

 

 

 

 

 

모델넘버를 가려대는 게임들의 테스트를 제외한 만번플투는 사실상 거의 쓸 일이 없었기에 전시용으로 소장 중이기도 합니다.

 

 

※ 호환성 여부라고 해보았자 이것도 3만번대에서 모든것이 정리되니 왠만해서는 그냥 두는 편이며 때론 잊고 있을정도이기도 함.

 

 

 

 

 

 

PCMCIA 카드는 외장하드와 마찬가지로 별도 구매해야 하는 품목이였으며 이후 익스팬션 베이가 내장된 3만 번의 등장으로 1만 번의 가치는 너무 떨어져 버리다 못해 완전 나락으로 가 버림. ㅜㅜ

 

 

 

※ 3만 5만번대에 호환가능한 메모리 부트를 실행해 보면 글꼴이 깨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1 만번대 기기에 최적화된 버전이 별도로 필요함.

 

 

 

※ CD/DVD 트레이의 윤활부족으로 생기는 문제점이 3만번대보다 더 심하다.

 

 

 

※  소니제품들이 늘 그래왔듯, 초기 모델이라 내부 구성된 부품들의 경우 후에 제조되어 판매된 모델들과 비교가 안될 수준으로 상당히 고급이다.

 

728x90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스카이러너

,
728x90
반응형

 

 

PS2의 해상도를 플레이어가 임의 지정할 수 있는 유틸

 

 

 

 

 

아래는 조금 더 세분화된 버전이며 다만 사용할 때 주의할 것은 (컴포넌트 VGA 기준) 1080i 이상(1080p)의 해상도를 포함 60hz를 넘겨서는 아니 되는데 이유는 그래픽 코어에 물리적 손상이 생길 수 있기 때문입니다.(이렇게 반강제 업스케일링을 시도한다 하더래도 화질면에선 별 차이도 없을뿐더러 대부분 화면출력이 제대로 되지 않는다거나 반쪽만 출력됨) 그렇다 보니 고해상도 출력용이라기보다는 해상도 관련 설정이 없는 게임의 480i <-> 240p 전환 테스트 라던지 NTSC < -> PAL 간 변환용으로 사용을 권장하는 바 입니다.

 

728x90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스카이러너

,
728x90
반응형

 

 

CS4335K 이외, 끝에 KSZ 도 있으며 서로 호환가능.

 

 

(PS2의 사운드 출력에 문제가 있는 경우 해당 칩을 교체하거나 냉납수리를 거친다면 대부분 문제가 해결됨.)

 

 

 

 

 

"PS7" S7(207) 듀얼쇼크 진동 관련 퓨즈. (3900X 이상 모델부터는 크기가 더욱 작아짐)

 

 

※ GH-013(014) (PS2 MODEL NUMBER 3000X - 3900X)

 

 

 

728x90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스카이러너

,
728x90
반응형

 

 

호환성 문제를 제외한, 잘 사용하던 하드가 로딩도중 한번씩 멈춘다거나 버벅거리는 조짐이 보인다면 가장 좋은것은 사용했던 같은 모델의 하드에 백업을 하는것이나, 이것 외에 기존 사용하던 하드디스크 기판을 분리한 다음 접점부위를 청소해 주는 방법도 있습니다. (분리시 별드라이버가 필요함) 아무래도 PC본체와 달리 좁디좁은 밀폐된 PS2 내에 자리잡고 있다보니 미세분진이 기판 틈틈이 끼므로 특히 접점부위에 때가 많이 낌을 볼 수 있음. (하드디스크 모델별로 기판은 다르나 접점부위는 있습니다.)

 

 

 

※ PC와 연결되는 포트 접점부의 경우 SATA 계열은 청소가 쉬운편이나, IDE 계열은 핀방식이라 제대로 플라그를 벗겨내려면 조금 까다로우므로 이것만 주의하여 청소해 주면 됩니다. (IDE 커넥터 방식은 SATA보다 더 밀폐된 구조이기 때문에 습기 및 미세먼지 유입이 적은 편이므로 하드디스크를 뽑아놓은 상태에서 장기간 외부 방치라던지 보관만 하지 않은것이라면 굳이 이 부분을 청소해 줄 필요는 없습니다.)

 

 

 

 

 

하단 모터 스핀들 접점의 경우 자칫 휘어버릴 수 있으니 이 부분은 조심스레 닦아줍니다.

 

 

 

728x90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스카이러너

,
728x90
반응형

 

 

IDE 하드를 사용할 경우 사진처럼 이것(IDE)을 부분적으로 지원하는, 조금 오래된 PC를 윈힙용 및 마스터 + 슬레이브 조합으로 사용하면 작업하기 한결 수월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점퍼설정 -> IDE 케이블 끝단 커넥터 : 마스터(원본) -> IDE 케이블 중간 커넥터 : 슬레이브(빈드라이브)

 

 

 

 

 

먼저 새 드라이브를 PS2 형식으로 포맷하기 전, 컴퓨터 관리 탭의 디스크 관리창을 통하여 "볼륨 삭제" 를 해주어야 하며 여기에서 다른 하드를 선택하는것에 주의.

(엉뚱한 하드디스크 볼륨 삭제로 인한 데이터 손실의 경우 복구센터에서도 손사래를 칩니다.)

 

 

 

 

 

다음으로 관리자 권한으로 윈힙실행 (1.7.6 버전 + 한글패치 아닌 영문윈힙 사용권장) , 상단 볼륨 삭제한 윈도 내에 숨겨진 드라이브를 셀렉트 드라이브 메뉴에서 선택 및 160기가 포함 그 이상 용량을 사용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에 "HDLoader 48bit" 선택 후 OK를 눌러 진행합니다. (여기에서도 다른 드라이브를 선택하는 실수를 하지 아니하도록 주의) (경고창이 몇 번 뜨는데 작업대상 드라이브가 맞는지 다시 한 번 체크 후 OK를 눌러 진행.)

 

 

 

 

 

 

원본 드라이브를 로드하면 파일 리스트가 뜨며 다음으로 하단 "Copy Drive" 선택 후 새로 작성한 즉 비어있는 PS2 포맷 드라이브를 선택함으로 사진처럼 작업을 진행해 줍니다. 완료되면 새로 생성한 드라이브를 PS2에 꼽아 몇 가지 게임을 가볍게 구동함을 끝으로 테스트를 마치면 됩니다. (PS2에 장착시 IDE 하드계열 점퍼는 마스터로 설정해 주어야 함)  (드라이브 백업의 목적은 어디까지나 고장에 대비함을 위함이지 상업목적으로 이루어져서는 절대 아니되며 이를 어길 경우 그에 따른 책임이 뒤따를 수도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스카이러너

,
728x90
반응형

 

 

OPL기능(지원)에 포함되어 있는 POPSTARTER 라는 유틸이며, PS1 게임 이미지를 해당 지원하는 포멧으로 변환 (VCD) 및 USB 메모리에 저장 후 간단한 텍스트 작업만 거쳐주면 됩니다. 메모리 카드는 VMC파일로 저장되며 치트코드 역시 별도의 텍스트 파일로 지정. 마지막으로 팝스유틸을 지원하는 홈페이지에 접속하였을때에는 멤버들간 불화탓으로 개발이 중단되었었으나 현재에는 깃허브포함 유저들끼리 임의 수정한 버전들로 배포중.

 

 

저장 디바이스별 호환성 목록 ↓

(하단링크의 경우 유럽쪽 플레이어들이 많은 관계로 대부분 PAL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비공식적으로 작성된 여러 호환성 목록표들이 있으니 구글로 검색하면 금방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www.psx-place.com/threads/popstarter.19139/

 

 

 

게임 호환성의 경우 가장 알려진 순으로 최적화가 되어 있으며 한글패치가 된 게임들은 치트 적용이 되지 않거나 여느 게임들과 마찬가지로 플레이나 로딩도중 멈추는 흔한 문제들이 존재함.

 

 

 

(최신버전이라고 해서 모든 게임들이 문제없이 구동되는것이 아닌, 게임마다 버전을 타는 특성은 여전하므로 잘 구동되던 게임이 버전업 이후 멎어버리는 문제가 있다면 이전버전으로 플레이를 하면 됩니다.)

728x90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스카이러너

,
728x90
반응형

 

 

75005번 모델 트레이 내부

 

 

 

 

 

내장배터리 나감.

 

 

 

 

 

상태가 좋지 않은 시디게임들 및 DVD는 잘 읽으나 거의 사용하지는 않아 굳이 배터리 교체를 위해 봉인은 뜯지 않기로 하였습니다.

 

 

 

 

 

39005번의 렌즈상태 역시 A급 버금가나, 배터리 포함 진동퓨즈까지 나가있었으며 이것 역시 위와 동일하게 곱게 싸서 보관하기로 결정.

 

 

 

728x90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스카이러너

,
728x90
반응형

 

 

HDLoader 시작 -> 우측 메뉴의 Install 실행

 

 

 

 

 

게임 DVD를 넣어줍니다.

 

 

 

 

 

게임명을 입력

 

 

 

 

 

인스톨 시 플스 2 렌즈상태가 좋지 않다면 읽기 에러가 남으로 정상설치가 되지 않기에 이점만 주의.

 

 

 

 

 

설치가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지정한 게임명이 뜹니다.

 

 

 

 

 

한글판 아이토이 플레이는 HDloader 및 OPL 에서 문제없이 실행이 가능했으며 메모리 부트기준으로 기기간 스왑을 해도 부트설정 변경점 없이 설치된 하드디스크에만 기록되기에 다른기기로 부트메모리를 옮길시 ISO 관련 파일들이 깨져 버리거나 꼬이는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음.

 

 

 

※ 아이토이 시리즈의 후속작은 어떤지 모르겠으나 플레이 버전은 초반 영상스킵이 전혀 안된다는 게 문제.

스타트 + 셀렉트 버튼을 동시에 누르면 스킵가능.

728x90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스카이러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