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구멍난 부위 가장 큰 지름 18. x mm 및 내부 펑크방지액  [펑크방지액의 경우 깨끗이 제거 후 닦아내었음에도 이 때문인지 초기 접착이 어려웠음.] [수리부위 제외한 잔여물이 남아있는 그대로 진행]

 

 

동일한 재질의 튜브(쿠션껌 패드 포함)를 적당한 크기로 오린 다음 녹여 붙이는 작업은 제외, 흔히 쓰이는 규격의 패치만으로 수리를 시도해 보았으며 여유로이 커버칠 수 있는 약간 큰 규격의 사각패치는 튜브의 크기에 비례 접착이 어려울 뿐더러 공기압을 채웠을시 접착면적만큼 수리면적 주변으로 당기는 힘이 상당함으로 다른 부위가 찢어질 수 있는것도 고려하였습니다.

 

 

 

 

 

본딩작업을 해주었어도 구멍의 크기가 있기에 42mm 패치만으로는 자칫 떨어져 나갈 수 있으므로 접착력을 올려주기 위해 추가로 약간의 열을 가해줌.

 

 

 

 

 

 

핫패치

 

 

 

핫패치의 경우 살라미 같은 컬러에 다소 연하고 잘 당겨지는 재질이므로 펑크부위에 직접적으로 붙이기 보다는 미리 붙여놓은 접착식 패치 둘레로 추가 보강용으로 쓰면 좋습니다. [가황 고무]

 

 

 

 

 

 

 

튜브에 공기를 채워넣는 것만으로는 땜질이 잘 되었는가를 판단할 수 없으므로 정확하게 확인하는 방법은 휠에 장착후 허용 최대치 공기압으로 채워 넣은 다음 주행직전 적정 공기압으로 재조절하여 얼마동안 주행을 해보고 문제가 없어야만 비로소 수리가 잘 되었다고 보고 있기 때문.

728x90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스카이러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