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rummania 7th Mix power-up ver [e-amusement]
이어뮤즈가 연결된 7th mix 메인화면이며, 패스워드 코드를 받아 웹에 등록하는 방식 이후 기기자체로 넷연결은 해당버전이 첫 서비스이기도 합니다. 2002년도 국내 오락실에서는 이어뮤즈는커녕 아는 이들도 거의 없었고 신작이래봐야 퍼쿠션 프릭스 5나 오프라인 전용 직수입 기체들이 돌아가던때.
V시리즈와 달리, 카드삽입으로 게임스타트가 되지를 않으므로 스타트 버튼이나 심벌로 먼저 시작해 주어야 합니다. (sys573 기준 10th 까지 이런 방식)
해당 게임의 첫 이어뮤즈 서비스 단계라 그런것인지 달성률(%)은 게임내에서 확인이 불가했으며 웹페이지에서 가능했던것으로 추측. (확인결과 웹페이지에도 달성률(%)은 표시가 되지 않았으며 9th mix부터 개선됨.)
※ 곡별 목록에 표기된 빨간색 점은 플레이를 했다는 표시가 아닌, 스킬 해당곡임
캐릭터 (회복 아이템 "回復君") 과 폰트(닉네임)는 버전 10 까지 그대로 이어지게 됩니다. (스킬포인트에 따른 컬러링 변경은 있음.)
상위 버전에서는 가능했던, 설정 부분의 아이템 사용여부를 켜고 끄는 기능도 없음.
곡별 스코어 및 랭킹은 게임내에서 확인가능.
게임종료전 화면. 퍼즐 & 룰렛은 콘솔판으로까지 이어지게 됩니다.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는 윈도우 기반의 시스템들과 비교해 보았을때 당시 하드웨어의 한계를 알 수 있는 부분.
※ 8버전까지는 룰렛이 아닌 각 퍼즐숫자에 정해져 있는 클리어 조건들을 완수하여야 함.
세이브 및 종료화면.
국내에서는 V5 버전부터 시범적으로 이어뮤즈먼트 서비스를 시작하여 V6 [BLAZING!!! -> BURNING!!!]에 와서야 사실상 공식화 되었으니 대략 7년이라는 공백기간이 존재함으로, 7th mix 의 이어뮤즈먼트 연결은 나름 이 계열에 있어 상징성이 있다고 봄.
- 더군다나 2002년 당시에는 유튜브도 없었고 스마트폰은 커녕 그나마 일부 가지고 있던 피쳐폰의 카메라 화질은 그야말로 절망적이였으며, GFDM 관련 내용을 담은 개인 블로그들도 현재에는 대부분 사라졌기에 이와 관련된 자료들을 찾는것은 불가능하다.
※ 스킬포인트 계산법도 구곡 - 신곡 - 롱버전 나뉘어서 합산이 아닌, 30개의 레벨높은곡 -> 획득한 포인트 수치순으로 단순하게 결정됨. (스탠다드 모드에서 단 한곡도 플레이 하지 아니한 상태에서 롱버전(보너스트랙)의 곡들로만 플레이하면 전곡 스킬합산에 해당) (논스톱 모드 (오피셜) 스킬포인트 합산 X "퍼즐만 나옴")
※ 어떤곡을 클리어 했는지 알 수 없음. (표식X, 기억에 의존?)
※ 이어뮤즈먼트 카드는 첫 로그인시에만 비밀번호를 입력함. (이후로는 카드만 넣으면 게임으로 바로 넘어가며) (카드 분실시 다른이가 사용할 수도 있었을듯) (버그로 추측)
※ 신-구곡 난이도 대부분이 하향평준화 되어 있으며 9th mix부터 적용되는 eemall 시스템을 갖춘버전도 아님. 더군다나 시스템 용량한계로 전작(6)에서 구곡들을 대량 삭제된 그대로를 이어받은 버전인지라 전반적으로 곡수조차 적은편. 그렇다보니 스킬작의 난이도는 가히 역대급이다. (아이들의 낙서장이라던지 DD시리즈 포함 100초 익스등 고랩 위주 구곡들로 높은 득점률을 내주어야 1000점대로 진입이 가능.) 참고로 아카이브에 저장되어 있는 1위 SP가 1202 이다.
※ 차후 패치가 되었는지 "콩마이" 문자는 찾아볼 수 없었음. (지금처럼 인터넷으로 패치자체가 불가능했으며 코나미 소속 직원이 점포를 방문하여 봉인된 씰을 뜯고 PCB를 열어 손을 봐주던 그런때였음.) 다만 필자가 확인했을때 "콩마이" 문자를 찾아 볼 수 없었던 이유는 다른 인포메이션 메시지가 출력되게끔 서버에 지정되어 있을뿐이지 오타문구는 데이터에 그대로 남아 있다.
※ 샵랭킹포인트는 해당 버전부터 도입되었으며 랭킹 이외 8-9 버전에는 서버에 지정된 숫치에 도달하면 정해진 기간이후 전용 해금곡도 풀림. (전국랭킹을 제외한 이 해금방식은 V7-V8에 도입된 GDP 포인트와 같은 개념이라 보면 된다.)
※ 네임 컬러링은 보라색이 마지막이며 스킬 1000이면 취득할 수 있다.
※ 퍼즐도안은 아래와 같다.
- 1:1회 플레이한다
- 2:2회 플레이한다
- 3:5회 플레이한다
- 4:8회 플레이한다
- 5:10회 플레이한다
- 6:10 스테이지 플레이
- 7:20 스테이지 플레이한다
- 8:30 스테이지 플레이
- 9 : 임의의 곡으로 랭크 D 이상을 달성한다
- 10: 임의의 곡으로 랭크 C 이상 달성
- 11: 임의의 곡으로 랭크 B 이상 달성
- 12: 임의의 곡으로 랭크 A 이상 달성
- 13 : 임의의 곡으로 랭크 S 이상 달성
- 14 : 모든 노래로 랭크 SS 또는 E 달성
- 15 : 모든 노래로 전체 콤보 달성
- 16: 보너스 트랙 모드 플레이
- 17:논스톱 모드・OFFICIAL 플레이
- 18: 논스톱 모드 ORDER 플레이
- 19: 논스톱 모드 RANDOM 플레이
- 20: 스탠다드에서 엑스트라 스테이지 클리어
- 21: 보너스 트랙으로 엑스트라 스테이지 클리어
- 22: 스탠다드에서 앙코르 스테이지 클리어
- 23: 보너스 트랙으로 앙코르 스테이지를 클리어
- 24 : 퍼즐 도안과 관련된 노래를 클리어
- 25 : 신곡을 10 스테이지 플레이
- 26 : 구곡을 10 스테이지 플레이
- 27 : 임의의 곡으로 30 콤보를 달성하고 클리어
- 28 : 임의의 곡으로 50 콤보를 달성하고 클리어
- 29: 임의의 곡으로 70 콤보를 달성하고 클리어
- 30: 임의의 곡으로 100 콤보를 달성하고 클리어
- 31 : 모든 노래로 573 콤보 달성 및 클리어
- 32 : 임의의 곡을 난도 BASIC로 클리어
- 33 : 임의의 노래를 어려움 ADVANCED로 클리어
- 34 : 임의의 노래를 난이도 EXTREME으로 클리어
- 35: 임의의 곡으로 HIDDEN 옵션을 붙여 클리어
- 36 : 임의의 곡으로 SUDDEN 옵션을 붙여 클리어
- 37 : 임의의 노래로 DARK 옵션을 붙여 클리어
- 38: 임의의 곡으로 BRANCH 옵션을 붙여 클리어
- 39: 임의의 곡으로 REVERSE 옵션을 붙여 클리어